경제

소비 둔화 지속…내수 회복 가로막는 주요 요인으로 부상

페르소나12 2024. 12. 7.

소비자심리 개선에도 상품 소비 감소세 지속

최근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월 기준 101.7로 전월 100.0보다 소폭 상승하며 심리적 안정세를 보였다. 하지만 소비자심리가 개선된 것과 달리 실제 소비 활동은 부진한 흐름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9월 소매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2.2% 감소하며 8월(-1.3%)에 비해 감소폭이 확대됐다. 특히 음식료품(-6.1%), 화장품(-10.2%) 등 주요 품목에서 소비 감소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승용차는 생산 차질 완화로 2.1% 증가했지만, 대다수 품목의 부진을 상쇄하기에는 부족했다.

장바구니 속의 식료품들

 

서비스 소비, 완만한 성장세 유지

상품 소비와 달리 서비스 소비는 완만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증가폭은 둔화되는 추세다. 숙박·음식점업과 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은 각각 3% 이상 감소했고, 교육 서비스 생산도 1% 줄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 심리가 살아나지 못한 상태에서 필수재 중심의 소비만 일부 유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높은 금리와 물가 안정, 소비에 복합적 영향

높은 금리 기조와 물가 상승 둔화는 소비 둔화에 복합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10월 소비자물가는 1.3% 상승하며 전월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 이는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가격 하락의 영향을 받은 결과다. 금리 인상은 내구재 소비를 감소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로 자동차, 가전 등 고가 상품의 소비가 줄어들며 소비심리 회복이 제한적인 상황이다.

 

경제 전문가: "소비 둔화, 내수 회복의 걸림돌"

전문가들은 소비 둔화가 내수 중심의 경기 회복에 심각한 제약 요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한국 경제가 수출 의존에서 벗어나 내수 중심으로 균형 잡힌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소비 활성화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특히 대중교통, 생활필수품 등 서민 경제와 직결된 영역에서 소비를 촉진하는 정책이 요구된다.

 

소비 활성화 위한 정책적 대안

정부는 내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재정 지출을 확대하고, 금리 인상 기조를 신중히 관리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특히 세제 혜택이나 현금성 지원 등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더불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지원책 강화도 중요하다. 고금리로 인한 소비 감소를 완화하기 위해 대출 규제를 완화하거나 이자 부담을 경감시키는 방안이 검토될 수 있다.

 

내수 중심 경제 전환의 필요성

소비는 경제의 기본 축으로, 내수 활성화를 위한 지속 가능한 방안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한국 경제의 구조적 불균형이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 정부와 기업, 소비자가 함께 노력해 내수 중심의 경제로 전환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대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반응형

댓글

💲 추천 글